진위(眞僞)보다는 호오(好惡)를 판단하고, 선악(善惡)보다는 피아(彼我)를 구별하는 것은 계통발생적(진화론적)으로는 퇴화이며, 개체발생적(발달심리학적)으로는 퇴행이죠. 요즘 덜 발달한 개체, 덜 진화된 군체가 종종 확인됩니다. 진중권
페이지
▼
2012년 12월 11일 화요일
眞僞보다는 好惡를 판단하고, 善惡보다는 彼我를 구별하는 것은
진위(眞僞)보다는 호오(好惡)를 판단하고, 선악(善惡)보다는 피아(彼我)를 구별하는 것은 계통발생적(진화론적)으로는 퇴화이며, 개체발생적(발달심리학적)으로는 퇴행이죠. 요즘 덜 발달한 개체, 덜 진화된 군체가 종종 확인됩니다. 진중권
2012년 9월 5일 수요일
"사람이길 포기한 괴물"
그런데 반추해봅니다. 사람이 자신이 사람이길 포기할 수 있는가? 더나아가 누군가 타자가 다른사람의 행동을 들어 그 사람의 권리포기여부를 대신 결정하거나 간주할 수 있는가? 포기는 처분권한이 있는 사람만이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인권"이라는 관념은 "인간이길 포기했다"는 말 한마디로 모두 기각됩니다.
인권이라는 관념은 인간이 가지는 어떤 권리 중에는 양도하거나 처분하거나, 포기할 수 없는 것이 반드시 존재한다는 확신에서 출발하기 때문입니다. 적어도 인권을 말하는 사람이라면, 누군가의 인권을 박탈하는 논리로 "인간임을 포기했다"는 말을 사용해서는 안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습니다.
더구나, 스스로 포기하지도 않았는데, 타자의 행동을 두고 옆 사람이 분노에 가득차서, "스스로 인간임을 포기했네" 라고 하는 것은 자신의 권한 하에 있지 않는 것을 자의적으로 재단하려는 유아적인 발상이거나 자신만이 옳다는 병리적인 상태가 아니라면 할 수 없는 일입니다.
물론 인간들이 하는 행동 중에서는, 인간이라면 하지 말아야 하는 것이라고 기대되는 것들이 있습니다. 그러나, 곰곰히 톺아보자면, 원래 인간이 아닌 동물들은 그런 흉폭한 행동을 하지 않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흉폭한 행동을 할 수 있는 동물은 다름 아닌 인간입니다. 따라서 가장 분노를 불어일으키는 것도 사실은 인간입니다.
분노를 일으키는 누군가의 행동이 인간답지 못했다면, 분노하는 방법은 적어도 인간다워야 합니다. 괴물과 맞선다는 명분으로 스스로 괴물이 되어가는 자신을 합리화하는 인간들을 보면서... 괴물로 가득차 가는 이 세상을 어느 누군가는 멈춰야 하지 않나 하는 절박함이 듭니다.
"사람이길 포기한 사람"이라는 말을 남용하는 자가 만약 언론이거나 기자라고 불리는 사람들이라면, 그들이야 말로 언론임을 포기한 언론, 기자임을 포기한 기자들이 아닌지 저는 심각히 의심합니다. 스스로 괴물이 되지 않으면서도 괴물같은 인간과 맞설수 있는 방법이 우리에게는 반드시 존재합니다.
2012년 4월 17일 화요일
인권침해와 공소시효
요즘 이 제도에 대해 오해하는 이들이 많다. 공소시효 이야기다. 공소시효는 죄를 진 사람을 용서해주자는 제도가 아니다. 어떤 범죄에 대해 일정 기간이 지나면, 국가의 형벌권을 소멸시키는 제도이다. 그런데 요즘 이 제도가 여기저기 불려다니면서 고생이라나?
한 영화감독이 ”막말엔 공소시효도 없구나”라고 말한데 이어, 유명 배우까지도 "도대체 연예인들에게는 들이대는 공소시효”도 없다며 덧붙였단다. 김구라 막말 파문을 두고 한 소리다.
장진과 정찬의 불편한 심기를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어떤 사과를 해도 용서가 되지 않는 어떤 거부 못할 바람에 대한 불편한 심기일게다. 그러나, 공소시효 얘기는 번짓수를 벗어나도 한참 벗어났다.
만약 역사의 심판이나, 여론의 비난에 공소시효를 논하는 사람이 있다면, 공소시효의 뜻을 몰라서 나오는 무지의 결과라고 밖에, 달리 말할 수 있을까? 역사의 심판과 여론의 비판에 당연히 시효란 있을 수 없다. 김구라를 비판하는 걸 두고, 시효를 따지는 것은 이완용을 비판하는걸 두고 시효를 따지는 거나 똑같은 얘기다.
더구나 김구라의 발언은 전쟁범죄 피해자를 모욕 주는 언사였다. 물론 이에 대해 형벌권을 행사하자면 문제가 될 수 있다. 그런데 다만 문제의식을 가지고 참회를 요구하는 것조차 문제인가? 과연 그것이 시효를 들먹일 일인가? 더구나 1998년 '국제형사재판소에 관한 로마규정' 제정 이후 각국은 반인륜범죄 및 반인도범죄, 전쟁범죄 등에 대해서는 공소시효를 배제하는 쪽으로 법규를 바꾸는 추세에 있지 않은가?
장진의 말. “김구라가 8년 전에 써놓은 일기가 발견된것도 아니고, 다알면서 지금까지 기사 쓰고 방송 출연 시키고 광고 섭외해 놓고, 그분들 모두 사기당하신거야?” 그렇다, 솔직히 말하자면 난 사기 당한 거다. ㅜㅜ
정찬의 말. “아니 김구라씨가 막말방송한 거 몰랐어요?" 막말 방송‘만’ 한 줄 알았다. 정신대 피해자를 윤락녀취급까지 한 지는 몰랐다. 내가 지금까지 막말 김구라를 좋아했던 이유는 그의 막말에는 그래도 금도와 역사의식이 살아있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나만 그랬던가?
물론 김구라를 죽을 때까지 결코 용서하지 말아야 한다는 얘기는 아니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을 미워하지 말라 했던가? 지금 김구라처럼 자진해서 참회와 후회의 자세를 보이는 자에게 돌팔매질을 멈추지 않을 순 없는 법이다. 과거 인권침해 발언을 한 전력이 있더라도 그렇다. 세상에 과연 용서할 수 없는 죄가 무엇이 있던가?
이 혼란한 와중 김미화의 제안은 단연 돋보인다. “구라야 은퇴 하지 마라! 누나랑 손잡고 할머니들께 가자. 가서 큰절 올리고 안아드리자. 누나가 할머니들 홍보대사고 딸이다. 할머니는 어머니고, 어머니는 아들의 과거 허물 다 용서하신다. 그게 어머니 마음이다”
옳다. 정답은 김미화다. 죄는 미워하되, 사람은 미워하지 말 것. 인권침해를 말하는 목적이 벌 주자는 데 있어서는 안된다. 인권 침해를 말하는 목적은 가해자가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고, 아프게 반성하도록 하는데 있어야 한다. 가해자가 인권침해자가 자신의 행동을 후회하고 스스로 아프게 반성하는데도, 벌주자는 자의 인권은 인권이 아니라, 복수일 뿐이다.
최근의 사건을 바라보며, 그나마 마음의 위로를 얻는 것은 이제는 사회에서 책임있는 사람들이 뿜어내는 반인권적 발언들이 점점 설 자리를 잃어가고 있다는 점이다. 물론 그러한 성장에는 아픔도 따르는 법. 김용민과 김구라의 설화는 그런 소중한 사회를 위해 바쳐야할 우리가 치러야할 소중한 제물일지도 모른다.
2012년 4월 15일 일요일
김용민의 결단을 기대하며 써내려간 김용민 변론
그의 웃자고 한 소리가 금도를 어긋나게 된 메커니즘은 무엇일까? 이른바 ‘카타르시스 커뮤니케이션’을 선호하는 우리 사회의 패거리 문화가 무관치 않다. 데이터를 합리적으로 설득력 있게 제시해서 다른 사람과 접근하든가 설득하든가 하는 과정이 익숙치 않기 때문이다. 설득을 하기 위한 것이라기보다는 자기 생각을 일방적으로 주장만 하면 되는 일종의 ‘배설 커뮤니케이션’에 우리 사회가 젖어있다는 것이다.
이런 경우, 다른 생각을 가진 사람을 우리 편으로 만드는 것이 아니고, 이미 있는 지지자들을 결집시키는 커뮤니케이션이 힘을 얻게 된다. 물론 이때, 그 서클 안에서는 카타르시스가 있다. 지지도도 오른다. 우리 정치문화가 바로 그랬다.
관타나모 캠프에서 벌어진 미군의 성폭행이 나쁘다는 건 사실 설득이 필요 없는 문제다. 그저 그 사건에 대한 그 분노를 결집하고, 해소시켜줄 풍자가 야유가 필요했을지 모른다. 그러나 그 과정에서, 김용민은 넘지 말아야 할 선을 넘었다. 게다가 분노의 번짓수도 한참 틀렸다. 라이스가 강간을 옹호하는 미 군국문화의 아이콘은 아니지 않는가?
니체는 말했다. “괴물과 맞서는 사람은, 그 싸움 속에서 스스로도 괴물이 되지 않도록 조심해야한다. 우리가 괴물의 심연을 오래동안 들여다 본다면 그 심연 또한 우리를 들여다 보게 될것이다.” 오오.. 괴물과 맞서다 스스로 괴물이 되어버린 불쌍한 자여. 김용민...
다행스러운 것은, 우리의 김용민은 이렇게 괴물이 되었었던 자신을 성찰할 수 있는 양심 있는 지식인이라는 점이다. 그러나, 그를 용서할 수 있는 것과 정치인 김용민을 허락하는 것은 또다른 문제다.
아파도 할 수 없다. 새누리당 석호익 후보는 “구멍” 발언이 문제가 되어, 낙마했다. 그 때 포화를 쏘아대던 통합야권이여! 김용민에게는 다른 잣대를 들이댈 것인가? 내가 하면 로맨스고 남이 하면 불륜이던가?
아 이러니하게도, 이런 사건들은 우리 사회의 문화를 한 단계 성숙시키고 사회의 진보를 앞당길 수 있다. 물론 아깝다. 그 제물이 이미 후보등록을 마친 김용민이라면 더더욱 그러하다. 그러나, 우리는 김용민을 버림으로써 더 큰 진보적 가치를 쟁취해야 한다.
통 합야권과 김용민은 결단해야 한다. 사실 이런 자충수는 수구들에게서 더 빈번하다. 지금 당장 김용민이 아깝다고, 앞으로 수많은 수구들 앞에서 눈 질끈 감아야할 가련한 신세로부터 자칭 진보개혁세력을 어떻게 보호할 수 있는가? 그 점은 바로 지금 그 결단의 여부에 달렸다. 만에 하나 당선된다고 해도, 통합야권은 더 많은 것을 잃게 된다.
발칙한 상상력이 뇌리를 스친다. 만약 사퇴와 함께, 노원갑 무소속의 노동자 후보에게 김용민과 통합야권의 힘을 실어준다면 어떨까? 모르긴 해도, 김용민은 더 큰 정치적 자산을 얻게 될지도 모를 일이다. 어차피 지금은 완주를 해도 당선은 물 건너가지 않았나? 당에 부담이나 되지.
2012년 4월 11일 수요일
같은편만 결집하는 트위터가 아니라, 다른편을 설득하는 트위터를 만들어야
같은편만 결집하는 트위터가 아니라, 다른편을 설득하는 트위터를 만들어야... 그러기 위해서는 적에게 적용한 기준을 우리 편에게도 적용하는 공정성이 필요하다...는 반성을 해본 아침이었습니다. 출처 : 김두식 @kdoosik